새소식

정부지원 민원 가이드

2025년 자동차 주소 변경 방법 | 전입신고 후 꼭 해야 할 차량 절차

  • -
반응형

 

2025 자동차 주소 변경 방법 썸네일0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입신고를 마친 뒤 반드시 해야 하는 자동차 주소 변경 절차에 대해 정리해 드립니다.

차량을 소유하고 계신 분이라면 이사 후 주민등록 전입신고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차량 등록 주소도 함께 이전 신고해야 하며, 이를 놓칠 경우 최대 5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주소 변경 해야 하는 이유

 

자동차 등록 주소는 소유자의 주민등록지 기준으로 관리됩니다.

전입신고만 하고 차량 주소지를 그대로 두면, 행정상 불일치로 인해 자동차세, 검사 안내, 보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사 후 15일 이내 변경 신고 필수
  • 미이행 시 자동차관리법 위반으로 과태료 부과 가능

 

변경 절차는 어떻게 하나요?

 

2025년 기준 자동차 주소 변경은 아래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1. 정부24 온라인 신청
  2. 자동차 등록지 관할 차량등록사업소 방문

 

 

 

① 정부24 온라인 신청

 

정부24 홈페이지 자동차 변경 등록 신청 페이지 스크린샷 화면

 

 

이전 주소와 새로운 주소 모두 같은 시·도 내라면 정부24에서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정부24 홈페이지 접속
  2. ‘자동차등록증 주소 변경’ 검색
  3. 본인 인증 후 변경 신청
  4. 신청 완료 후 변경된 등록증 출력 가능

정부24 차량 변경 등록 바로가기

 

② 차량등록사업소 방문 신청

 

시·도 간 이사(예: 서울 → 경기)라면 반드시 관할 차량등록사업소에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이 경우 기존 번호판 반납 및 새 번호판 교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준비물: 자동차등록증, 신분증, 차량 소유자 도장
  • 공동명의 차량의 경우 공동 소유자 전원 동의 필요

 

자동차세 자동 연계는?

 

주소 이전 시, 차량세 부과 지역도 함께 변경됩니다.

별도 신청 없이 자동으로 반영되지만, 고지서 수령 주소 등은 반드시 확인해 주세요.

 

주소 변경 확인 방법

자동차등록원부를 통해 주소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민원포털 바로가기

 


같이 보면 좋은 글

 

2025 자동차세 계산법 완전 정리 | 위택스 계산기 활용과 납부 시기 안내

 

2025 자동차세 계산법 완전 정리 | 위택스 계산기 활용과 납부 시기 안내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매년 반드시 납부해야 하는 세금, 바로 자동차세입니다.2025년 기준으로도 지방세로 부과되는 자동차세는, 차량의 배기량과 연식에 따라 달라지며 기한 내 납부하지

lasleinas.com

 

 

 

 


 

 

 

자동차 주소 변경은 전입신고 후 15일 이내 반드시 해야 하는 행정 절차입니다.

같은 시·도 이사라면 정부24에서 간편하게 신청하시고,

다른 시·도 간 이사는 관할 등록소를 직접 방문하시면 됩니다.

작은 실수로 과태료 내는 일 없도록 꼭 챙기세요!

오늘 정보가 도움이 되셨다면, 다른 실생활 꿀팁들도 이어서 확인해 보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